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Tags
- kotlin
- recyclerview
- Jetpack Compose
- 취업
- 스플래시
- 안드로이드
- 면접
- electron
- room
- asLiveData()
- imageview
- 테마
- android studio
- nav_graph
- Safe Args
- Datastore
- ViewModel
- Android
- Navigation Component
- 일렉트론
- themes.xml
- Binding Adapter
- 주석
- TypeConverter
- Gradle
- BottomNavigationView
- Livedata
- fragment
- hilt
- 개발자
Archives
- Today
- Total
나만 보는 일기장
DI Framework - (1) 의존성 주입의 종류 3가지 본문
fun main() {
makePC()
}
fun makePC(): PC {
// ???
}
class PC() {
// ...
}
class CPU {
// ...
}
class GPU {
// ...
}
class RAM {
// ...
}
class Power {
// ...
}
PC라는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 CPU, GPU, RAM, Power이라는 클래스들이 필요하다고 할 때,
PC는 해당 클래스들에 대해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 Dependent라고 하고,
PC를 만들 때 필요한 클래스들은 Dependency라고 한다.
그리고 이 부품들을 PC에 전달하는 것을 의존성 주입이라 하는데, 의존성 주입의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.
1. Constructor Injection
fun makePC(): PC {
val cpu = CPU()
val gpu = GPU()
val ram = RAM()
val power = Power()
val pc = PC(cpu, gpu, ram, power)
return pc
}
class PC(val cpu: CPU, val gpu: GPU, val ram: RAM, val power: Power) {
}
Constructor Injection은 이름처럼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, 외부에서 Dependency들을 생성하여
Dependent의 생성자에 넣는 방식이다.
안드로이드 개발에서 보통의 경우 이 Constructor Injection을 쓰는 것을 권장한다고 한다.
2. Method Injection
fun makePC(): PC {
val pc = PC()
pc.setCPU(CPU())
pc.setGPU(GPU())
// ...
return pc
}
class PC() {
private lateinit var cpu: CPU
private lateinit var gpu: GPU
private lateinit var ram: RAM
private lateinit var power: Power
fun setCPU(cpu: CPU) {
this.cpu = CPU()
}
fun setGPU(gpu: GPU) {
this.gpu = GPU()
}
// ...
}
Method Injection은 Dependent 내부의 함수를 통해 Dependency들을 전달해주는 방식이다.
거의 쓰이지 않는 방식인 것 같다.
3. Field Injection
fun makePC(): PC {
val pc = PC()
pc.cpu = CPU()
pc.gpu = GPU()
// ...
return pc
}
class PC() {
public lateinit var cpu: CPU
public lateinit var gpu: GPU
public lateinit var ram: RAM
public lateinit var power: Power
}
Field Injection은 객체를 생성한 후 객체의 파라미터에 직접 Dependency들을 전달하는 방식이다.
위 예제에서는 클래스들이 아주아주 간단하기 때문에 손수 타이핑 해서 의존성을 주입하는게 가능했지만,
실제 개발에서는 구조가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직접 의존성 주입을 하기엔 어렵다.
그래서 쓰는 것이 바로 DI Framework인 Dagger/Hilt, Koin 등의 프레임워크들이다.
이들을 통해 비교적 쉽게 의존성 주입을 할 수 있게 된다.
'개발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radle JDK 버전 11로 변경하는법 (0) | 2021.09.27 |
---|---|
[Navigation Component] Navigation Component 사용법 (1) | 2021.09.26 |
Coroutine 복습하면서 적는 내용 (0) | 2021.09.26 |
DI Framework - (2) @Inject, @Component (0) | 2021.09.06 |
Comments